카테고리 없음

스마트폰중독 치료 해결방법

SBS 뉴스 2022. 7. 23. 15:32
반응형
노모포비아( Nomophobia ) '핸드폰 공포증' 스마트폰중독 치료 해결방법 :: 마일리스 정보통
반응형

노모포비아(Nomophobia)는 No mobile phone phobia의 줄임말입니다.

휴대전화와 떨어져 있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사용자의 80%는 기상 후 15분 이내에 스마트폰을 확인하는 반면, 젊은 성인의 87%는 스마트폰을 절대 놓지 않는다고 말하죠. 그리고 휴대폰 중독은 심각한 문제이기도 하는데요.

 

아래 스마트폰 중독의 일부 징후를 보고, 현재 자신의 상황과 비교해보시길 바랍니다.

 

스마트폰 중독의 일부 6가지 징후.

1. 당신은 당신의 전화를 자주 사용합니다.
2. 당신은 직접 만나는 시간보다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시간이 더 많습니다.
3. 다른 일을 해야 할 때 종종 휴대전화를 사용합니다.
4. 집중이 필요한 작업을 하는 동안 휴대폰을 자주 사용합니다.
5. 휴대전화가 곁에 없으면 불편합니다.
6. 가끔 밤에 휴대폰을 확인합니다.

 


혹시 위의 6가지 중 자신에게 포함이 되는 것이 있을까요, 혹은 다른 사람이 포함될까요? 만일 포함되더라도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스마트폰 중독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7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알림을 끕니다.
많은 사람들이 Facebook, Twitter, Instagram 및 Spotify의 알림으로 인해 주의가 산만해집니다.
누군가가 귀하의 상태 업데이트를 좋아하거나 Instagram에서 귀하를 팔로우하거나 이메일을 보내면 즉시 확인하게 되는데요. 이를 통해 핸드폰을 자주 확인할수록 중독이 됩니다. 따라서 알림을 끄면 핸드폰을 보는 주기가 자연스럽게 줄어들겠죠.

다만 캘린더 앱과 문자나 메세지 앱은 켜놓는 상태가 좋은데요. 다만 다른 사람의 연락이 무척이나 기다려져 핸드폰을 계속 보게 되는 경우에는 당분간(1개월간) 캘린더 앱 알림만 겨놓는 것을 권장합니다.

 

 


2. 휴대폰을 확인하고 싶은 충동이 들 때 눈을 감고 심호흡을 하세요.
일이나 공부를 하고 있는데, 갑자기 휴대폰을 꺼내 페이스북 피드를 확인하고 싶은 충동을 느껴질 때가 있는데요. 그래서 그 충동을 이기지 못하고 딱 3분만 핸드폰을 보게 된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친구의 휴가 사진을 살펴보고 댓글을 달게 되었고, 그 이후 연예 기사를 읽게 됩니다. 그리고 고양이 비디오 하나와 아기 비디오 하나를 보게 됩니다.

위 과정을 통해 3분만 핸드폰을 보려고 했지만 이미 20분이 지나게 되죠. 이런 경험 다들 많이 있으실 겁니다.

그리고 익숙한 스마트폰 SNS 알림 소리가 들리면 휴대폰을 확인하고 싶은 충동이 강하게 오는데요. 다만 이는 몇 초만 기다리면 충동이 사라지게 되고, 원래 하던 일과 공부에 집중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조금만 참아보세요.

하지만 그래도 휴대폰을 확인하고 싶은 마음이 든다면 눈을 감고 심호흡을 해보세요. 3초간 숨을 내쉬고 2초간 들이마십니다. 이 심호흡을 6번만 반복하게 된다면 충동이 사라집니다.


3. 모든 소셜 미디어 앱을 삭제합니다.
과감한 조치처럼 들리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소셜 미디어 사이트에는 계속 컴퓨터로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거의 모든 소셜 미디어 앱은 모바일에 친화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충분히 PC의 웹사이트를 통해 들어갈 수 있죠.

조금 과감한 조치이긴 하지만, 이를 통해 소셜 미디어에 대한 갈망을 충족시키기에 충분합니다. 저 또한 그러고 있고요.

앱을 통해서는 간단하게 볼 수 있었지만,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SNS를 보게 된다면 열고 사이트의 URL을 입력하는 추가 단계가 계속 있어 불편할 수밖에 없는데요. 하지만 이렇게 하면 소셜 미디어를 확인하는 주기가 점점 줄어듭니다.


4. 사용하지 않는 앱을 ​​삭제합니다.

사용하지 않는 앱을 삭제하게 되면 핸드폰의 어수선함을 제거할 수도 있고, 필요하지 않은 앱을 가끔 들어가는 행위가 줄어들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사용 시간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는 앱을 ​​삭제하면 저장 공간이 확보되고 휴대전화의 배터리 수명이 향상된다는 장점도 있으니 꼭 삭제합시다.

5. 스마트폰 사용의 경계를 설정합니다.

핸드폰을 덜 사용해야 한다고 스스로에게 다짐하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이미 중독된 사람에게는 다짐이라는 것이 쉽게 무너지기 때문이죠. 따라서 특정한 행위를 할 때 하지 않는다고 경계를 정해놓는 것입니다.

아래 몇 가지 유용한 사용 금지 상황을 적어보겠습니다.
- 식사시간에는 휴대전화 사용 금지.
- 화장실에 휴대폰밖에 두고 가기.
- 학교/회사에서 휴대전화 금지.
- 대면 대화 중 전화 사용 금지.
- 침실에 휴대폰 가지고 오지 않기.

위 내용 중에서 쉬운 것부터 시작하세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 패턴에 큰 차이가 있음을 스스로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6. 채팅 음소거.
kakao, WhatsApp 그룹 채팅을 모두 음소거를 해보세요.
특별한 사람이 아닌 대부분의 사람들은 당신의 메시지는 시간에 민감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그룹 채팅의 알림을 끄고, 스마트폰을 보게 되는 주기를 줄여보세요. 다만 몇 번만 읽어도 괜찮습니다.

 

이 방법은 그룹 채팅방을 나가는 것보다 더 정중한 대안이며, 많은 사람들이 이미 위와 같이 음소거를 설정해두고 있습니다.

 

7. 즉시 답변 금지.
가족이나 친한 친구의 긴급한 문자 메시지 외에는 즉시 답장하지 말아 보세요. 즉시 대답하고 싶은 유혹을 이겨내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스마트폰에 대한 강박이 사라짐을 느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결론
스마트폰은 우리가 더 좋고 생산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하지만 스마트폰 중독에 빠지면 우리는 스마트폰에서 벗어날 수 없는 사람이 됩니다. 이것은 우리의 관계, 일, 삶에 영향을 끼치죠.

다만 위 7가지 팁을 적용하면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또한 의미 있는 관계를 구축하고 다른 사람에게 봉사하며 커뮤니티에 기여할 수 있는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가질 수 있게 됩니다.

그러니 스마트폰에 대한 과도한 의존도를 없애기 위해 노력합시다.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