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일부터 스마트폰 이심(eSIM)이 국내에 본격 도입이 된다. 그전에 우리는 eSIM이 무엇인지, 또한 그로 인해 생기는
장단점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다.
우리는 현재 휴대폰에 유심(USIM)칩을 꽂아 사용한다.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칩이라고 부르며
SIM 카드로 불리기도 한다. 한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서들은 대부분 심카드라고 많이 표현한다.
기존의 유심을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통신사를 바꾸는 과정에서 유심칩을 그때마다 새로 구매해서 새로 등록을 해줘야 했다. 그리고 유심 트레이를 통해서 유심을 넣다 보면 항상 유심의 파손에 대해서 신경을 써야 했고 물리적인 손상에 대해서
유심칩은 매우 약한 상태였다. 또한 일반, 마이크로, 나노 등 3종류로 나뉘게 되면서 통신사별로 규격도 달랐었다.그러다보니 유심을 사용하게 되면서 고객들이 겪는 문제는 여러 문제가 있었다.
이심(eSIM)이란 무엇인가?
eSIM(embedded SIM)은 USIM칩과 동일한 역할을 하지만 큰 차이는 단말기에 내장된 칩에 사용자가 QR코드 등을 활용하여 통신사에서 직접 접속해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해 사용하는 새로운 가입자 식별 모듈이다. 기존의 유심방식은 통신사를 이동하게 될 때마다 새로운 유심을 사서 갈아 끼웠지만, 이심은 스마트폰에 기본 내장이 되어있기 때문에 이용자 정보를 통신사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만 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굉장히 편리해진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이심(eSIM)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심의 가장 큰 장점은 유심의 대한 파손에 대한 걱정이 사라졌다는 것이다. 통신사에서 다운로드 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물리적인 심이 존재하지 않고 또한 유심을 보관하는 유심트레이를 삭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조사 입장에서는 조금 더
남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그리고 가장 핵심 내용은 이심을 통해서 기존 유심침과 함께 물리적인 데이터
나눠 쓰기가 가능하다. 흔히 말해 듀얼심이라고 해서 유심과 이심을 다 지원하게 되는 휴대폰의 경우 하나는 다른 휴대폰에 쓸 수가 있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듀얼폰으로 해서 두 가지 폰을 하나의 요금제를 통해서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개인용과 업무용이 분리해서 사용 가능하다.
국내 이심(eSIM) 현황은 어떠한가
현재, 정부는 이심(eSIM)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통신사들과 지속적인 교류를 신청하였다. 하지만 통신사들은 고객 유치의 경쟁을 이유로 반대하는 입장을 고수했었다. 자신들의 시장을 결국 알뜰통신판매자들에게 빼앗길 수 있다는 걱정 때문에 계속 이심의 도입을 반대했던 것이다. 또한 그들의 수익 중 하나인 유심칩 또한 원가가 1000~2000원 하는 것을 7000원 이상으로 판매함으로써 그들에게 수익원을 하나 잃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 또한 이유가 되는 것이다. 하지만 결국 정부의 추진으로 9월 1일부터는 강제로 '이심'시장이 형성되게 되었고 그동안 기다렸던 알뜰 통신사들 입장에서는 시장이 새롭게 열리기 때문에 파격적인 방법으로 고객들을 유치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결국 새로운 시장이 열릴 것이고 자연스럽게
이동통신 3사와 알뜰 통신사들 간의 경쟁을 통해서 고객들에게 더 좋은 혜택으로 돌아올 것이다.
현재 이심(eSIM) 지원 여부
당장 이심 운영을 하는 곳은 현재 알뜰폰 업체인 '티플러스' 하나만 존재한다. 그들은 독자적인 기술을 이용해서 SK텔레콤 망에서 이심 기능을 구현해서 지원하고 있다. 통신사는 현재 티플러스 하나 그리고 휴대폰은 애플뿐입니다. 애플은
아이폰 xs부터 기능을 지원하고, 삼성은 갤럭시 s20부터 글로벌 모델에 한해서 이심 기능을 지원했습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이 기능을 제거했습니다. 이유는 통신사들과의 합작품이라는 것이죠. 안타깝습니다.
이제 9월 1일부터 새로운 이심(eSIM) 시장으로 인해서 고객들의 이동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이번 기회로 알뜰 통신사로 고객들이 많이 넘어가서 대형 통신 3사가 반성 좀 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들의 독단적인 행동에 고객들은 화가 납니다. 알뜰통신사의 이동을 망설이시는 분들이 계시다면 어차피 약정이 안걸리기 때문에 한번이라도 사용하시길 권해드립니다. 통신퀄리티? 차이 안납니다. 어차피 통신망을 빌려쓰기 때문에 대기업꺼랑 같습니다. 멤버쉽 같은 혜택은 없습니다.
멤버십 혜택 하나 때문에 월 6~7만 원씩 낼 필요가 없습니다. 어차피 혜택도 지속적으로 줄이고 있는 마당에 그 혜택은 과감하게 포기하는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자급제로 휴대폰을 구매해서 알뜰 통신사로 2년째 사용 중이고 저렴한 요금제로 충분하게 만족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더 이상 대기업의 혜택 이런 거에 눈속임을 당하진 않습니다.
우리는 고객이고 충분히 저렴하고 혜택이 있다면 넘어가면 그만입니다. 새로운 시장의 형성 기대하겠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경제 시장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워치 8에 대한 전망 (0) | 02:42:53 |
---|---|
9월1일 스마트폰 eSIM 새로운 시작 (0) | 02:13:20 |
우리나라도 외로움 장관이 필요할까? (1) | 2022.07.23 |
구글의 크롬OS 플렉스는 윈도우를 넘을 수 있을까? (0) | 2022.07.22 |
AI는 나를 진심으로 위로 해줄 수 있을까? (2) | 2022.07.21 |
스마트워치의 불편한 동거 삼성과 구글 (4) | 2022.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