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폰 보급이 늘어나면서 일상생활 속에서 블루투스를 활용하는 기기들이 많이 시중에 보급되고 있는데요. 이어폰이나 스피커 등으로 인해 블루투스란 만들 이 많이 접하셨을 거예요. 그런데 블루투스 버전 종류들이 많죠. 그래서 오늘은 블루투스에 대해서 포스팅을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블루투스 버전별 차이점은? 내 스마트폰은 몇 버전일까?
블루투스란?
블루투스(Bluetooth)는 1994년에 에릭슨이 최초로 개발한 디지털 통신 기기를 위한 개인 근거리 무선 통신 산업 표준이 되었습니다. 명칭은 10세게경 스칸디나비아 지역을 통일한 국왕 하랄드 브라톤의 별칭 “파란 이빨”을 따와 무선 통신을 하나로 통일시키자는 의도로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블루투스 원리
블루투스 원리는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대역인 2400~2483.5MHz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위아래 주파수를 쓰는 다른 시스템의 간섭을 막기 위해서 2400MHz 이후 2MHz, 2483.5MHz 이전 3.5MHz까지의 범위를 제외한 2400MHz 이후 2483.5MHz 이전 3.5MHz까지의 범위를 제외한 2402~2480MHz, 총 79개 채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ISM : 산업, 과학, 의료용으로 할당된 주파수 대역으로, 전파 사용에 대해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어 주로 개인 무선기기에 많이 사용된다.
블루투스 버전
- 블루투스 1.0과 1.0B :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다양한 제조사들이 제품 간의 상호 호환성을 가지게 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있었습니다. 그리고 블루투스가 사용된 2.4Ghz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무선 랜(802.11b/g/n)도 2.4Ghz대의 주파수를 사용했기 때문에 동시 사용할 때에는 충돌은 피할 수 없었습니다.
- 블루투스 1.1 : 2022년에 802.15.1 IEEE 표준으로 승인되었고, 1.0B의 많은 문제점들은 개선되었으며, 그밖에도 비 암호화 채널(non-encrypted channels)을 지원하였고,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를 수신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 블루투스 1.2 : 빠른 접속과 가까운 거리에서의 주파수 간섭 및, 먼 거리에서의 분산 스펙트럼(frequency-hopping spread spectrum)에 대비하기 위해서 오류나 재전송에 따른 음성이나 음원 신호의 quality손실을 막는 eSCO를 지원하게 되었고, three-wire UART를 위한 HCI를 지원하게 되었다. 2005년 802.15.1 IEEE 표준으로 승인되었다.
- 블루투스 2.0 + EDR : 데이터 속도가 이전에 비해서 3.0Mbit/s의 향상된 데이터 속도(Enhanced Data Rate, EDR)를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 블루투스 2.1 + EDR : 장치의 이름이나 서비스 목록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기능이 추가되었고, 근거리 무선통신(NFC)에 대응하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 블루투스 3.0 + HS : 2009년 4월 21일에 발표되었으며, 블루투스 3.0의 큰 특징은 802.11 PAL(Protocol Adaptation Layer)를 채용해서 속도를 최대 24Mbps로 향상했다. PC를 모바일 기기와 동기화를 할 수 있고 프린터나 PC로 많은 사진을 내려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갤럭시 S에 탑재되면서 사용자에게 잘 알려지게 시작되었습니다.
- 블루투스 4.0 + LE : 2010년에 발표되었으며, 기존 블루투스에 고속(+HS) 저전력 등이 포함된 버전으로 저전력의 경우 연결을 보다 빠르게 그리고 고속 전송은 와이파이 기반입니다.
- 블루투스 4.1 : 2013년 12월에 블루투스 4.1의 새로운 기능을 발표하였습니다. 블루투스와 LTE 무선이 서로 통신간의 공존성을 높여졌으며, 블루투스 연결 장치끼리의 거리가 증가해 잠시 연결이 끊어지게 되더라도 4.1 블루투스에서는 거리 내로 되돌아올 시 자동으로 재 연결되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 블루투스 4.2 : 2014년 하반기에 새롭게 발표되었습니다. 사물인터넷(loT)에 대한 대응이 좀 더 긴밀해졌습니다.
- 블루투스 5.0 : 블루투스 4.0 공개 이후 4년이라는 시간이 흘러 2016년에 발표되었으며, 기존의 LE프로토콜의 느린 전송속도에서 2배가량 속도를 증가시켰고 거리의 경우 기존 약 10M에서 40M로 확장이 되었습니다.
- 블루투스 5.1 : 2019년에 발표되었으며, 패킷 충돌을 피하고 Bluetooth 신호 도착률을 보장하는 임의 채널 색인하고, 위치 정확도를 향상했습니다.
- 블루투스 5.2 : 2020년도에 발표되었으며, 최대 200m 거리까지 거리가 증가하였으며, 두개의 기기를 하나의 장치로 연결이 가능해졌으며, 고품질 저전력 오디오 코덱 지원으로 오디오 품질이 향상되었습니다.
블루투스 장단점
블루투스의 장점으로는 다른 무선 장치의 간섭 없이 동시에 여러 개의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이고 단점으로는 개인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가 유출에 주의해야 하며, 전송 거리가 와이파이에 비해 제안적이다.이상으로 블루투스 버전별 차이점에 대해서 이야기하였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스마트폰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부터 하나의 휴대폰으로 "번호 2개" 사용 가능 (0) | 2022.07.24 |
---|---|
카카오톡 생일 설정, 변경 방법 (0) | 2022.07.24 |
파이썬 QR코드로 URL 링크 만들기 (0) | 2022.07.24 |
이미지 속 글자를 텍스트로 변환 (0) | 2022.07.24 |
앱 네이버 BAND 사용법 (0) | 2022.07.24 |